충격 GSW '애물단지' 쿠밍가 딜 지체되는 이유, 돈 때문이었다?..."누가 먼저 물러서느냐가 관건"

[SPORTALKOREA] 황보동혁 기자=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가 조나단 쿠밍가 트레이드에 소극적인 결정적 이유가 드러났다.
현재 GSW의 가장 큰 난제는 쿠밍가 재계약 문제다. 그의 거취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다른 영입 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2021년 드래프트 전체 7순위로 입단한 쿠밍가는 폭발적인 운동 능력과 림어택을 갖춘 포워드로 2023/24 시즌 평균 16.1득점 4.8리바운드 2.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주전 자리를 굳혔다.
지난 시즌에도 부상 전까지 평균 21.1득점 6.3리바운드를 올리며 팀의 확실한 2옵션 역할을 했다.

그러나 1월 발목 부상으로 전열에서 이탈한 사이 팀의 공격 전술이 변화했고, 시즌 중 합류한 지미 버틀러의 존재로 인해 3점슛에 약점을 지닌 쿠밍가의 입지는 급격히 줄었다.
복귀 후에는 평균 출전 시간이 20분에도 못 미쳤고, 정규 시즌 최종전과 플레이오프에서는 로테이션에서 완전히 제외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 미네소타전 3차전에서 30득점 6리바운드 3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잠재력을 재차 입증했다.

이런 활약에 피닉스 선즈와 새크라멘토 킹스가 관심을 보였고 특히 '디 애슬레틱'의 샘 아믹에 따르면 새크라멘토는 2030년 보호 조건이 붙은 1라운드 지명권과 말릭 몽크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GSW는 몽크 대신 수비력이 뛰어난 키온 엘리스를 요구했고, 협상은 그 시점에서 멈췄다.

하지만 NBA소식에 정통한 브렛 시걸 기자에 따르면 GSW가 새크라멘토의 제안을 거절한 궁극적인 이유는 따로 있었다.
12일(한국시간) 시걸 기자는 보도를 통해 "GSW는 새크라멘토의 마지막 제안 이후 관련 논의를 중단했다"며 "몽크를 받으면 1차 사치세 라인(First Apron)을 초과하게 돼 버디 힐드나 모지스 무디를 내보내야 하는데 GSW는 두 선수를 모두 지키고 싶어한다"라며 재정적 문제로 인해 딜이 중단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GSW 입장에서는 상황이 답답하다. 지난 7월 '클러치포인트'의 보도에 따르면, 구단은 이미 알 호포드, 디앤서니 멜튼과 구두 합의를 마쳤지만, 쿠밍가 문제로 인해 계약이 최종 확정되지 못했다.

결국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GSW는 쿠밍가와 일단 재계약을 체결한 뒤, 트레이드 마감일 직전에 거래를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걸 기자는 “쿠밍가의 상황은 결국 ‘누가 먼저 물러서느냐’의 싸움”이라며 “워리어스의 제안은 변하지 않았고, 쿠밍가 측은 1년 790만 달러(약 109억 원) 퀄리파잉 오퍼 수락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사인 앤 트레이드가 불가능하다면 제안을 받아들이고 시즌 초반 기량을 보여준 뒤 2월 트레이드 마감 전에 이적을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현 시점에서 쿠밍가의 잔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사진= Basketball Daily, 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