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할 말 없다”던 이정후, 이제는 안 억울할까? MLB, 판정 논란 잠재울 ABS 도입 논의 본격화

[SPORTALKOREA] 김지현 기자=이정후가 더 이상 납득하기 힘든 판정에 휘둘릴 일이 적어질 듯싶다.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은 지난 16일(한국시간) 올스타전에서 처음으로 자동투구판정시스템(ABS)을 도입했다.
MLB는 2021시즌부터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테스트해왔다. 2022년부터는 트리플A 경기에서 사용하고 있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에 따르면 MLB 공동 경기운영위원회는 올 시즌 후반기 중으로 2026시즌 ABS 도입 여부를 두고 최종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ABS 시스템 도입은 이정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정후는 시즌 초반 심판의 석연치 않은 판정에 당한 적이 있다. 지난 4월 26일 텍사스 레인저스전 9회 말, 선두타자로 나선 이정후는 좌완 투수의 5구째 시속 94.5마일(약 152.1km) 강속구에 얼굴을 맞을 뻔한 아찔한 상황을 겪었다. 반사적으로 몸을 피한 그는 가까스로 쓰러지며 공을 피했고, 공은 방망이에 맞고 파울이 된 듯했다.
하지만 심판진은 파울이 아닌 스윙 판정을 내려 헛스윙 삼진 팡정을 내렸다. 중계방송에 '딱'하는 소리가 들릴 정도였고 느린 화면으로 봐도 배트에 공이 맞은 것으로 보였지만 판정은 바뀌지 않았다.
경기 후 이정후는 드물게 판정에 대한 불만을 공개적으로 토로했다. “피하면서 방망이가 나간 상황이라 어쩔 수 없다고는 생각한다. 그래서 파울인지 아닌지 리뷰를 요청했지만, 심판이 이미 삼진을 선언했기 때문에 판독이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며 운을 뗀 그는 “상식적으로 손에 맞았다면 내가 뒹굴고 있었을 것이다. 바로 타석 준비를 할 리가 없다.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라며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공교롭게도 한 달여 뒤, 이정후는 또 한 번 미심쩍은 판정에 피해를 봤다. 지난 5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 1회 첫 타석에서 이정후는 마이클 킹의 바깥쪽 높은 스위퍼에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MLB.com 게임데이 확인 결과 해당 스위퍼는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공이었다. 이후 이정후는 2구째 체인지업을 받아쳤으나 3루수 뜬공에 그치고 말았다.

같은 경기 6회 초 득점권 찬스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정이 나왔다. 3-0으로 유리한 볼카운트를 만든 이정후는 4구째 싱커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보고 방망이를 거뒀으나 스트라이크 콜이 선언했다.
다행히 이정후는 5구째 들어온 싱커를 공략해 강한 타구로 내야안타를 만들며 아웃은 면했다. 그러나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공에 스트라이크 콜이 나온 건 흐름을 끊는 석연치 않은 판정이었다.

이정후는 이미 수차례 ‘사람 눈’의 한계에 발목이 잡혔다.
ABS 도입은 이정후만이 아니라, 모든 메이저리거들이 더 이상 억울한 판정에 고개 숙이지 않아도 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될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MLB.com 게임데이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