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억 영입 축포’ 그 후, 이제 보상 선수라는 파도가 온다…‘애지중지’ 유망주 많은데 누굴 묶고 누굴 풀 것인가

[SPORTALKOREA] 한휘 기자= 박찬호에 총액 80억 원이라는 거액을 쏟은 두산 베어스는 이제 보상 선수라는 ‘파도’를 맞닥뜨린다.
두산은 지난 18일 “내야수 박찬호와 4년 최대 80억 원(계약금 50억 원·연봉 28억 원·인센티브 2억 원)에 계약했다”라고 알렸다. 지난주부터 협상이 급물살을 탄다는 이야기가 나돌았고, 결국 올해 FA 시장에서 처음으로 도장을 찍은 선수가 됐다.
놀랍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당초 두산은 박찬호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파다했다. 올해 전역 후 맹활약한 안재석을 비롯한 젊은 내야수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리빌딩을 향한 전망을 밝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산의 판단은 달랐다. 영건들이 확실하게 주전으로 안착할 가능성에 ‘물음표’가 붙어 있는 점이 고려됐다. 안재석의 타격 재능을 더 살리기 위해 포지션을 옮길 가능성도 제기됐다. 여러 이유로 박찬호 영입전에 뛰어들었다.
예상보다 높은 몸값에 경쟁 구단들이 계약을 주저하는 사이 두산은 통 크게 지갑을 열었다. 보장 금액만 78억 원에 달하는 초대형 계약이다. 전문 유격수 가운데는 LG 트윈스 오지환이 맺은 6년 124억 원에 이은 역대 2위 규모다.
그렇게 두산은 과감한 투자로 유격수 보강에 성공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뒤따르는 법. 이제 두산은 박찬호의 원소속팀 KIA 타이거즈와 보이지 않는 두뇌 싸움을 펼쳐야 한다. 보상 선수 이적이 남아 있다.

박찬호는 A등급 FA다. KIA는 보상 선수 1명과 함께 지난해 박찬호의 연봉의 200%인 9억 원을 받을 수 있다. 보상 선수 없이 연봉의 300%인 13억 5,000만 원을 받는 방법도 있으나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결국 보상 선수 한 명은 KIA에 내줄 전망이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보호 명단이다. A등급이기 때문에 보호선수는 단 20명만 지정할 수 있다. FA 선수나 육성선수, 2차 드래프트 지명 선수 등을 제외하더라도 빠듯하다.
두산이 기대를 거는 젊은 선수들은 투수와 내야진에 대거 포진해 있다. 일단 마운드를 보면, 올해 1군에 데뷔한 윤태호, 홍민규, 최민석, 양재훈 외에도 1군에서 충분히 성과를 남긴 젊은 선수들이 꽤 많다.
내야진도 마찬가지다. 올해 두산 최고의 ‘히트 상품’인 박준순과 오명진을 비롯해 안재석, 박지훈, 임종성 등이 1군에서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들을 전부 묶기에 20인 명단은 좁은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KIA가 지명을 검토할 만한 포지션도 바로 투수와 내야수다. KIA가 올해 8위라는 충격적인 순위까지 굴러떨어진 데는 빈약한 불펜진이 한몫했다. 2차 드래프트에서도 이태양을 지명해 ‘즉시 전력감’ 투수를 보강했을 정도다.
내야진 역시 시즌 중 홍종표의 트레이드 이적에 이어 박찬호의 재계약마저 불발되면서 고민이 커졌다. 기존 자원들로만 공백을 메우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잠재력을 드러낸 두산 내야수를 영입해 기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 스포트라이트에서 살짝 벗어나 있지만, 포수 포지션 역시 충분히 지명을 고려할 만하다. 사실상 누가 이적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 누굴 묶고 누굴 풀 것인가. 보호 명단을 짜야 하는 두산 구단의 고민이 작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제공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