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만에 WKBL 강타한 키워드는 '체력'·'프레스', 트렌드 이끌며 왕조 건설했던 우리은행, 그대로 당했다

[SPORTALKOREA=부천] 이정엽 기자= "종전 비시즌보다 2~3배 이상 뛰는 운동을 많이 해서 정말 힘들었습니다"
지난 10월 인천 서구 청라에서 만난 하나원큐 가드 박소희는 이상범 하나은행 감독의 체력 훈련 강도를 언급하며 혀를 내둘렀다. 지금까지는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의 '뛰는 운동'을 하면서 자신과 팀이 모두 점차 달라지고 있음을 느꼈다.

올 시즌을 앞두고 하나은행에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 이 감독은 남자프로농구 KBL 무대에선 수십 년 세월을 보낸 베테랑 지도자다. 지난 2011~12시즌 오세근(SK), 박찬희, 이정현(DB), 양희종과 함께 정관장의 첫 우승을 감독으로 함께했으며,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코치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산전수전을 다 겪은 베테랑 지도자가 '만년 꼴찌' 하나은행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한 카드는 강력한 체력을 활용한 '압박'이었다. 전방부터 풀 코트 프레스를 40분 내내 붙어 상대를 최대한 어렵게 하겠다는 의도였다.
이 감독은 지난 9월 열린 박신자컵에서 시행착오를 겪었다. 선수들의 체력이 100% 완성되지 않은 탓이었다. 하지만, 이후 열린 연습경기에서 서서히 위력을 발휘했다. 하나은행은 강력한 전방 압박을 통해 상대의 실책을 유발했고, 삼성생명, KB 스타즈를 연이어 격파하며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그리고 지난 17일 열린 아산 우리은행과의 개막전. 하나은행은 1쿼터 중반부터 상대 베이스라인 근방에서 1-2-2 존 대형으로 강력한 프레스를 펼쳤다. 서서히 상대가 하프 코트를 넘어서는 순간, 좌우 코너로 몰아 2명의 수비수가 공을 갖고 있는 한 명에게 달라붙는 형태였다.
우리은행은 오랜만에 보는 풀코트 프레스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WKBL 역사상 최고의 지도자로 꼽히 위성우 감독조차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 이명관이 첫 실책을 범했고, 세키 나나미도 이이자마 사키의 손질에 걸렸다. WKBL 최고 베테랑 김단비도 버거워하는 장면이 여러 차례 연출됐다.
하나은행은 풀코트 프레스를 통해 순식간에 흐름을 바꿨고, 결국 이는 길고 길었던 우리은행 상대 홈 27연패 사슬을 끊는 원동력이 됐다.

사실, 지난 2012~13시즌 이와 비슷한 형태로 만년 최하위를 벗어난 뒤 왕조를 건설한 구단이 있다. 바로 위성우 감독과 우리은행이다. 당시 위 감독은 이승아-박혜진-김은혜-임영희-양지희로 이뤄진 베스트5를 40분 풀타임 기용하면서 강력한 전방 압박을 펼쳤다. 이를 통해 무려 8개의 스틸을 기록하는 등 상대 턴오버를 수차례 유발해 개막전 승리를 가져왔다. 이후 기세를 이어가며 신한은행을 제치고 리그 1위에 올랐다.
무려 13년 만에 우리은행은 자신들의 전성기를 만들어 준 강력한 무기에 본인들이 당했다.
사진=WKBL 제공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