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무경력’에 무슨 문제라도? LG의 마지막 퍼즐은 톨허스트였다…‘빅 게임 스타터’가 트로피 갖다 줬네 [KS 5차전]

[SPORTALKOREA] 한휘 기자= 요즘 한국에 오는 외국인 선수 상당수가 갖고 있는 메이저리그(MLB) 경력이 없었다. 그런데 ‘우승 청부사’란다. 그리고 그는 증명했다. 우승으로.
LG 트윈스 앤더스 톨허스트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 한국시리즈 5차전 한화 이글스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7이닝 4피안타 2볼넷 5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했다.

1회를 삼자범퇴로 막은 톨허스트는 2회 들어 안타 2개에 볼넷까지 내주는 등 흔들렸다. 결국 한 점을 내줬다. 1회 초에 LG가 뽑은 선취점이 무색해지는 순간이었다. 배수진을 친 한화의 기세에 흔들리는 듯했다.
하지만 3회에 세계선이 뒤바뀌었다. 3회 초 LG가 다시 앞서나가는 점수를 뽑은 가운데, 3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문현빈을 4-6-3 병살타, 노시환을 헛스윙 삼진으로 잡고 실점 없이 위기를 모면한 것이다.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말처럼, 위기를 넘긴 톨허스트는 더욱 단단해졌다. 4회에 문보경이 하주석의 안타성 타구를 호수비로 지워낸 덕을 보며 삼자범퇴를 달성했다. 5회와 6회도 연이어 삼자범퇴로 순식간에 지우며 한화 타선을 봉쇄했다.
7회 선두 타자 채은성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하주석을 6-3 병살타로 정리한 뒤 최재훈을 삼진으로 잡고 포효했다. 3회까지 다소 많은 54개의 투구 수를 기록하던 톨허스트는 나머지 4이닝을 삭제하는 데 고작 43개의 공만 던졌다. 압도적이었다.

톨허스트의 호투는 승리의 디딤돌이 됐다. 3회 오지환의 희생플라이로 역전한 LG는 6회 김현수의 적시타와 9회 홍창기의 희생플라이로 3점 차로 달아났다. 그리고 8회 김진성, 9회 유영찬이 톨허스트의 뒤를 책임졌다. 4-1 승리로 경기가 마무리됐다.
이로써 시리즈 전적 4승 1패를 만든 LG가 올해 한국시리즈의 승자가 되며 통합우승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2023년 이후 2년 만에 따낸 구단 역사상 4번째 우승이며, 이로써 2020년대에 2번 정상에 오른 첫 구단이라는 타이틀도 거머쥐었다.

LG의 우승에 톨허스트의 공적을 빼놓으면 섭섭하다. 톨허스트는 지난 8월 3일 엘리에이저 에르난데스를 대신할 외국인 투수로 LG와 계약했다. 하지만 계약 당시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MLB 경력이 전무하고 큰 경기 경험도 적은 젊은 선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톨허스트가 ‘적임자’라는 평가도 나왔다. 톨허스트는 영입 직전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하이싱글A에서 시작했으나 더블A를 거쳐 올해 트리플A까지 올라섰다. 불과 1년 사이에 두 단계를 ‘고속 승격’한 것.
올 시즌 내에도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린 점도 인상적이었다. 톨허스트의 올해 트리플A 성적은 16경기(14선발) 71⅓이닝 4승 5패 평균자책점 4.67로 평범했다. 그런데 영입 직전 5경기에서는 2승 2패 평균자책점 1.37(26⅓이닝 4실점)로 호투했다.

다양한 구종에서 나오는 투구 레퍼토리도 눈에 띄었다. 삼진 23개를 잡는 동안 볼넷은 단 4개였다. 패스트볼 평균 구속도 시속 93~94마일(약 150~151km) 선에서 형성된 만큼 공이 느린 선수도 아니었다. 구위와 제구를 모두 갖췄다.
LG는 지난해 뛰어난 구위에 비해 투구 레퍼토리가 아쉬워서 다소 고전한 디트릭 엔스(현 볼티모어 오리올스)라는 사례를 겪은 바 있다. 한국 타자들 특유의 타석 접근법을 고려했을 때, 톨허스트와 같은 유형이 더 성공하기 좋다고 판단했다.

적중했다. 톨허스트는 정규시즌 8경기 44이닝 6승 2패 평균자책점 2.86으로 호투하며 기대에 완벽히 부응했다. 9월 들어 분석이 완료되며 공략당하는 모습이 종종 나오기도 했지만, 한 경기 무너지면 다음 경기에서 본 모습을 찾을 만큼 회복이 빨랐다.
포스트시즌 들어서도 제 몫을 충분히 했다. 26일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6이닝 7피안타 무사사구 7탈삼진 2실점 호투를 펼치며 팀 승리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날 데일리 MVP 역시 톨허스트의 몫이었다.
4일만 쉬고 오늘 다시 나오는 것이 변수였지만, 톨허스트는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1차전보다 더 좋은 투구 내용을 선보이며 LG의 우승을 완성하고 다시 데일리 MVP를 가져갔다. 결국 톨허스트를 영입한 LG의 승부수는 ‘신의 한 수’가 됐다.

LG가 포기한 에르난데스는 지난해 포스트시즌에서 어마어마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엘동원(엘리에이저+최동원)’이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다. 그런 ‘빅 게임 피처’를 포스트시즌 2달을 앞두고 내보내는 결단이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톨허스트는 그 이상이었다. 불펜에서만 안정감을 유지했던 에르난데스와 달리, 톨허스트는 구단이 원하던 ‘선발 투수’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포스트시즌에서도 전혀 흔들리지 않았다.
‘빅 게임 피처’를 내보내고 LG는 빅리그 경험이 전무한 선수를 데려왔다. 그리고 그 선수는 ‘빅 게임 스타터’였다. 올해 LG의 우승의 마지막 퍼즐이 된 그 이름, 톨허스트다.

사진=뉴시스, LG 트윈스 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뉴스1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