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모두 푸른 피가 흐르는 선발 마운드는 다르다, '흔들리는 방망이 속에서도 강한' 삼성·LA 다저스 모두 역대급 선발진으…

[SPORTALKOREA] 이정엽 기자= 한국 KBO 리그와 미국 메이저리그(MLB) 모두 푸른 유니폼을 입은 구단이 막강한 선발 투수진을 앞세워 시리즈를 지배했다.
삼성 라이온즈는 지난 14일(이하 한국시간) 대구 삼성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준플레이오프 4차전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했다. 이날 삼성은 선발 투수인 야리엘 후라도가 7이닝 동안 단 1실점도 내주지 않으며 완벽한 투구를 펼쳤다.

삼성은 앞서 1차전에서도 최원태가 6이닝 무실점으로 깜짝 호투를 펼쳤다. 이어 2차전에선 헤르손 가라비토가 6이닝 3실점, 3차전은 원태인이 6⅔이닝 1실점으로 틀어막으며 확실한 '짠물 야구'를 펼쳤다.
이로써 삼성 선발진은 준플레이오프에서 4경기 평균자책점 1.05를 기록했다. 4명의 선수가 모두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했을 정도로 이닝 소화력과 안정감 모두 완벽 그 자체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삼성과 비슷한 컨셉을 가진 구단이 있으니 바로 '코리안 메이저리거' 김혜성이 속한 LA 다저스다.

다저스는 지난 1일부터 열린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부터 8경기에서 선발 투수들이 무려 52⅔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점 1.54를 기록 중이다. 블레이크 스넬,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타니 쇼헤이, 타일러 글래스나우로 이뤄진 선발진은 심지어 날이 갈수록 위력을 더하고 있다.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내셔널리그 챔피언십시리즈에선 1차전 스넬이 8이닝 무실점, 2차전 야마모토가 9이닝 1실점 완투승을 거뒀다.
삼성과 다저스의 공통점은 선발이 강하고 불펜이 약하다는 측면이다. 이들은 최대한 선발 투수들이 길게 이닝을 끌고 가며 불펜이 나올 기회 자체를 주지 않으며 승리를 챙겼다.

또, 정규 시즌과 달리 타선이 힘을 발휘하지 못해 격차를 벌리는 부분에선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 역시도 강력한 선발진의 힘으로 만회하고 있다.
삼성과 다저스는 모두 우승이라는 목표까지 2단계를 남겨두고 있다. 이들이 강력한 선발 투수진을 앞세워 꼭대기까지 오른다면, 야구계는 '불펜 야구'에서 '선발 야구'로 트렌드가 변했음을 뼛속 깊이 느낄지도 모른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삼성 라이온즈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