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초’ KBO 골든글러브가 달라진다! ‘정규시즌 ONLY’ 위해 투표 일정 조정…‘12명’ LG 후보 최다 배출

[SPORTALKOREA] 한휘 기자= 올해 KBO 골든글러브는 달라진 투표 일정이라는 큰 변화와 함께 찾아온다.
KBO는 9일 2025 신한 SOL뱅크 KBO 골든글러브 후보를 발표했다. 포지션 별로 선정 기준을 충족한 선수들이 자동으로 입후보했으며, 총 83명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투표 일정이다. 그간 KBO 골든글러브는 한국시리즈 종료 후 미디어 관계자 투표를 진행해 수상자를 결정했다. 그런데 이 투표 일정 탓에 포스트시즌 활약상이 골든글러브 투표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이어져 왔다.
골든글러브는 엄연히 정규시즌 활약에 따라 주어지는 상인 만큼, 포스트시즌은 구분해서 봐야 했다. 하지만 투표 일정 탓에 포스트시즌에서 더 좋은 모습을 보인 선수나 최종 우승팀 선수에게 표가 몰리는 경향이 더 커진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메이저리그(MLB)의 경우 정규시즌 종료 직후 투표를 진행해 포스트시즌 결과가 투표에 영향을 끼칠 수 없는 구조를 지켜 오고 있다. 결국 KBO도 올해부터 투표 일정을 대폭 앞당겨 오늘(9일)부터 관계자 투표를 개시한다. 포스트시즌이 표심에 끼치는 영향이 비교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후보 선정 기준의 경우, 투수의 경우 규정 이닝을 충족하거나 10승 이상, 30세이브, 30홀드 이상 중 한 가지 기준에 해당하면 후보로 뽑힌다. 포수와 야수는 해당 포지션에서 720이닝(팀 경기 수 X 5이닝) 이상 수비로 나선 모든 선수가 후보 명단에 오른다.
지명타자는 규정타석의 2/3인 297타석 이상을 지명타자로 타석에 들어서야만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이 외에 KBO 정규시즌 개인 부문별 1위 선수는 자격요건에 관계없이 기준이 충족된 포지션의 후보로 자동 등록된다
단, 타이틀홀더에 한해 여러 포지션 출전으로 어느 포지션에서도 수비이닝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 최다 수비이닝을 소화한 포지션의 후보가 된다. 수비이닝과 지명타자 타석을 비교해야 할 경우에는 각 해당 기준 대비 비율이 높은 포지션의 후보로 등록된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투수 부문 33명, 포수 부문 7명, 1루수 부문 6명, 2루수 부문 5명, 3루수 부문 6명, 유격수 부문 8명, 외야수 부문 16명, 지명타자 부문 2명 등 총 83명이 후보로 선정됐다.

구단 별로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한 LG 트윈스가 가장 많은 12명의 후보를 배출했다. 요니 치리노스, 임찬규, 손주영, 송승기, 김진성(이상 투수), 박동원(포수), 오스틴 딘(1루수). 신민재(2루수), 문보경(3루수), 오지환(유격수), 박해민, 문성주(이상 외야수)가 대상자다. 지명타자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후보를 배출했다.
지난해 리그에서 가장 적은 5명의 후보만 배출한 한화 이글스는 올해 8명을 후보로 내보내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상승세를 앞세워 2위까지 올라선 한화의 저력이 드러나는 일면이다.
반대로 지난해 10명의 후보가 이름을 올린 ‘디펜딩 챔피언’ KIA 타이거즈는 단 6명만이 후보로 선정되며 가장 배출 후보 수가 크게 줄어드는 불명예를 안았다. 9위로 처진 두산 베어스도 리그 최소인 5명의 골든글러브 후보만 배출했다.
골든글러브 수상자는 오는 12월 9일 서울 롯데호텔 월드에서 열리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공개된다.

사진=뉴시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