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 이후 1년, 롯데도 두산도 웃을 수 없었다…그래도 1차 손익계산서는 ‘롯데 압승’, 미래는 어떨까

[SPORTALKOREA] 한휘 기자= 야구계 전체를 놀라게 한 ‘빅딜’로부터 약 1년이 지났다. 첫 해 결말은 두 팀 모두에게 ‘새드 엔딩’이다.
지난 2024년 11월 22일, 롯데 자이언츠와 두산 베어스가 3대2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롯데 외야수 김민석과 추재현, 투수 최우인이 두산으로 건너갔다. 반대급부로 투수 정철원과 내야수 전민재가 롯데 유니폼을 입었다.

큰 파장을 일으켰다. 김민석은 2023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가 1라운드 전체 3순위라는 높은 순위에 지명한 선수다. 비록 직전 시즌 매우 부진했으나 2023년 롯데의 초반 상승세의 주역으로 활약했을 만큼 잠재력을 드러낸 선수다.
정철원의 이름도 도드라진다. 2022년 KBO 신인왕에 오르며 ‘국가대표 필승조’로 발돋움했다. 마찬가지로 직전 해 부진하긴 했어도 시즌 막판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만큼, 어느 팀에서도 셋업맨 역할을 맡을 수 있었다.
당장 불펜에서 던져 줄 필승조 자원 및 내야 백업 보강이 필요했던 롯데, 외야진 세대교체를 준비해야 하는 두산의 ‘니즈’가 맞물렸다. 거래가 성사됐다. 그로부터 1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정규시즌이 마무리되며 이적한 선수들 모두 새 팀에서의 첫 시즌을 완주했다.

결과는 어떨까. 선수 개개인만 따지면 롯데의 ‘압승’이긴 하다. 정철원은 75경기 70이닝 8승 3패 21홀드 평균자책점 4.24, 전민재는 타율 101경기 타율 0.287 5홈런 34타점 OPS 0.715를 기록했다. 반면 김민석은 95경기 타율 0.228 1홈런 21타점 OPS 0.567, 추재현은 타율 0.222 1홈런 7타점 OPS 0.580이다.
하지만 팀 차원에서 평가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두 팀 모두 웃지 못했다. 당장 팀에 보탬이 될 전력을 보강한 롯데는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강을 단행한 두산은 선수를 키워내지 못했다.

전반기만 하더라도 3위까지 올라서며 포스트시즌 확률을 대폭 끌어 올린 롯데다. 하지만 8월 12연패에 빠지는 등 ‘날개 없는 추락’이 시작됐다. 9월에도 분위기를 전혀 바꾸지 못하며 5위권 바깥으로 밀려났고, 결국 7위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한 해를 마쳤다.
그 과정에서 트레이드 영입생들도 후반기 부침을 겪었다. 전반기에 20홀드를 올렸던 정철원도, 봄철 내내 불방망이를 휘두르며 타율이 4할을 넘나들던 전민재도 흐름이 꺾였다.
정철원은 후반기 평균자책점(3.76)이 전반기(4.53)보다 좋았다. 하지만 구위 저하가 눈에 띄게 드러났다. 피OPS가 0.05나 올랐고, 전반기 내내 3개에 그친 블론세이브가 8월에만 3번이나 나왔다. 세부 지표가 나빠진 결과 후반기 홀드는 단 1개에 그쳤다.
전민재는 아름다운 봄을 뒤로 하고 6~7월 타율이 1할대에 머물며 심각한 부진에 시달렸다. 후반기에 소폭 반등했으나 전반기의 위력을 되찾는 수준은 아니었다. 지난해에도 시즌 초반의 흐름을 잃고 후반기에 미끄러졌는데, 올해도 마찬가지였다. 수비 불안도 지적받았다.

반대로 두산도 재미를 보지 못했다. 장기 육성 자원으로 보고 영입한 최우인은 ‘논외’로 치더라도, 김민석과 추재현 모두 1군에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 김민석은 공수 양면에서 ‘낙제점’ 수준의 평가를 받았고, 추재현도 잦은 잔부상으로 기회를 살리지 못하며 1군 34경기 출전에 그쳤다.
외야 리빌딩도 차질을 빚었다. 그나마 우익수 자리는 제이크 케이브로 공백을 메웠지만, 좌익수 자리는 문제가 컸다. 여기에 김재환과 김인태, 조수행 등 다른 중고참들도 좋은 성과를 남기지 못했다. 1차 지명자 김대한은 올해도 살아나지 못했다.

결국 선수 개인의 성적을 떠나 롯데와 두산 모두 트레이드 당시 팀이 원하던 결과는 가져오지 못한 셈이다. 개별적인 손익계산서는 롯데가 확연히 우위지만, 정작 롯데도 맘 편히 웃을 상황은 아니다.
관건은 미래다. 롯데가 영입한 정철원과 전민재는 모두 1999년생이다. ‘어린 유망주’ 타이틀을 붙이긴 힘들다. 그런데 정철원은 두산 시절부터 이어진 잦은 등판으로 인해 피로 누적에 관한 우려가 따라온다. 전민재는 기복이라는 약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주전급 기량을 유지하려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야 한다.
두산은 두산대로 육성 방법을 두고 고민할 시점이다. 중견급인 추재현은 논외로 치더라도 김민석은 2004년생, 최우인은 2002년생이다. 이 둘을 잘 키워내기만 한다면 손익 평가를 바꿀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잘 성장했을 때의 이야기다.


사진=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