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이 “나가” 소리 들은 ‘국민 타자’는 떠났는데…약점 극복한 이숭용 감독, 재계약으로 운명을 바꿨다

[SPORTALKOREA] 한휘 기자= 지난해 10월, 팬들로부터 “나가”라는 비판을 받았던 두 감독의 운명은 1년이 지나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갈라졌다.
SSG 랜더스는 지난 3일 “이숭용 감독과 2026년부터 최대 3년, 총액 18억 원(계약금 3억 원, 연봉 12억 원, 옵션 3억 원)에 재계약을 체결했다”라고 알렸다.
아직 정규시즌이 진행 중임에도 재계약 소식이 발표되며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SSG 구단은 “이번 재계약은 ‘청라돔 시대’를 준비하며 구단의 리모델링 방향성을 일관되게 이어가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쉬이 상상하기 힘든 결과였다. KT 위즈에서 프런트로 활동하던 이숭용 감독은 지난해 SSG 지휘봉을 잡았다. 하지만 ‘초보 감독’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해하기 어려운 투수 운용과 선수단 구성 등으로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전임 감독인 김원형 대표팀 투수코치가 3위로 시즌을 마치고도 경질됐는데, 이숭용 감독은 첫 시즌 KT 위즈와 공동 5위로 정규시즌을 마쳤다. 게다가 10월 1일 진행된 5위 결정전에서 지면서 비판 여론이 폭발했다.
김광현을 무리해서 중간 계투로 투입했다가 역전 홈런을 맞았고, 부상을 안고 있던 추신수를 대타로 내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이 나왔다. 경기 후 SSG 팬들은 “이숭용 나가”를 외치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물론 ‘초보 감독’임을 고려해 이숭용 감독은 1년 더 기회를 받았다. 그리고 조금씩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지난해 지나치게 노경은에 의존해 문제가 된 불펜 운용은 조병현의 마무리 정착과 김민의 영입, 이로운과 박시후 등 젊은 선수들의 성장으로 해결했다.
선발진도 외국인 원투 펀치가 건재한 가운데 전영준, 김건우 등 ‘대체 선발’로 나오는 선수들까지 기대 이상의 경기력을 선보였다. 그 결과 SSG는 3일 기준 팀 평균자책점 2위(3.56)를 달린다. 올해 SSG의 호성적은 투수력에서 기인했다.


물론 단점도 명확히 존재한다. 타격이 심각하게 부진하다. 하지만 이에 관해서는 이숭용 감독보다는 강병식 타격코치 등 산하 코치진의 책임을 묻는 여론이 더 많다. 이런 와중에도 조형우와 고명준, 안상현 등이 성장하고 류효승이라는 ‘깜짝 스타’를 발굴하는 성과가 있었다.
이에 SSG는 비교적 연령대가 높았던 선수단을 젊게 ‘리모델링’하는 과정을 순조로이 밟아나가고 있다. 그러면서 올 시즌 63승 4무 58패(승률 0.521)로 3위에 올라 포스트시즌 진출에 도전함과 동시에 차기 시즌 이후의 전망도 밝히는 중이다.
SSG는 “선수단이 안정 속에서 경기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남은 시즌 무리한 선수 기용과 혹사를 방지하는 등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현재의 기조 아래 선수 성장의 흐름을 이어가는 동시에 내년 시즌 신속한 전력 구성을 위한 조치”라고 전했다.

이숭용 감독이 재계약을 맺으며 지난해 함께 팬들의 비난에 시달렸던 또 다른 이름이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다. 두산 베어스를 이끌었던 ‘국민 타자’ 이승엽 전 감독이다.
이승엽 전 감독은 지난해 팀을 4위까지 올렸으나 그 과정에서 ‘투마카세’로 대표되는 의아한 투수 운용과 이해하기 힘든 야수 기용으로 비판에 시달렸다. 여기에 KT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사상 처음 ‘업셋’을 허용하며 여론에 불이 붙었다.
2년 차 시즌임에도 발전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자, 팬들은 경기장에서 “이승엽 나가”를 외치며 경질을 촉구했다. 그럼에도 두산 구단은 이승엽 전 감독을 신임하며 올 시즌을 맞이했다. 그리고 두산은 9위까지 추락했고, 6월 2일 자진 사임하며 두산과 결별했다.
이숭용 감독도 부임 초기의 단점을 개선하지 못했다면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발전하는 모습과 함께 팀을 끌어 올렸고 새 계약서에 사인했다. 운명이 바뀌었다.

사진=SSG 랜더스, 두산 베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