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널 어려워" 르브론과 마지막 시즌,레이커스 이대로 포기? 전력 보강 쉽지 않다..."내년 1월…

[SPORTALKOREA] 황보동혁 기자= LA 레이커스가 사실상 르브론 제임스와 함께하는 마지막 시즌이 될 가능성이 높은 2025/26시즌을 맞이했다. 구단은 우승을 목표로 전력을 다지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현재 NBA 전체를 관통하는 가장 큰 화두는 르브론의 거취다. 샴즈 샤라니아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르브론은 지난 6월 플레이어 옵션을 행사해 다가오는 시즌 레이커스 잔류를 확정했다.

이로써 그는 2025/26시즌에만 약 5,267만 달러(한화 약 736억 원)의 연봉을 보장받게 됐다. 하지만 이번 ‘옵트인’은 단기 선택일 뿐, 구단과 장기 재계약은 체결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이번 시즌이 끝난 뒤에는 이적, 트레이드, 심지어 은퇴까지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뜻이다.
르브론은 여전히 리그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시즌 70경기에 출전해 평균 24.4득점·8.2어시스트·7.8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나이와는 무관하게 존재감을 증명했다.
하지만 구단 내부에서는 더 이상 팀의 중심축을 르브론에 두지 않으려는 기류가 뚜렷하다. 실제로 레이커스는 지난 3일 루카 돈치치와 3년 1억6,500만 달러(약 2,305억 원) 규모의 맥시멈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곧 세대교체를 공식화한 선언과도 같다.

그럼에도 최소한 이번 시즌은 르브론과 돈치치 조합이 유지될 전망이다. 레이커스는 두 슈퍼스타의 공존을 위해 바이아웃 시장에서 마커스 스마트와 디안드레 에이튼을 영입했다.
스마트로 백코트 수비 약점을 보강했고, 에이튼을 통해 인사이드 높이 문제까지 동시에 해결했다. 전력 보강을 위한 노력은 분명 존재했다.
그러나 현실적인 한계도 분명하다. 1일 현지 매체 ‘스포르팅 뉴스’가 ‘블리처리포트’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현재 CBA(단체협약) 규정 때문에 레이커스는 내년 1월 18일까지 어떤 추가 영입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최저 연봉 선수조차 새로 합류할 수 없으며, 유일한 방법은 선수를 방출해 샐러리 여유를 만들거나 트레이드 밖에 없다. 이미 올여름 체결한 여러 계약들로 인해 팀 샐러리는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약은 곧 르브론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매체는 "레이커스가 트레이드를 단행하지 않는 한 NBA 파이널을 노리기는 어려워 보인다"며“돈치치가 구단의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고, 올여름에도 구단이 로테이션 보강에 전력을 다하지 않은 태도는 르브론의 시즌 종료 후 이탈 가능성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르브론이 농구 외적인 이유로 LA에 남을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레이커스가 최상위권 경쟁자가 되지 못한다면 프랜차이즈의 중심이 아닌 위치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르브론은 오는 시즌을 40세의 나이로 맞이한다. 철저한 자기관리 덕분에 여전히 몇 년은 더 뛸 수 있을 만큼 신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전 동료 마키프 모리스는 최근 팟캐스트 ‘Million Dollaz Worth of Game’에서 “르브론은 46살까지 뛸 수 있다. 지금도 여전히 커리어 최고 수준”이라며 극찬했다. 하지만 나이가 주는 부담은 피할 수 없다. 시즌 내내 큰 부상 없이 팀을 홀로 이끌기는 더 이상 쉽지 않다는 뜻이다.
결국 관건은 레이커스가 얼마나 과감한 선택을 하느냐다. 팀의 상징과도 같은 르브론에게 존중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실적인 전력 보강을 통해 우승을 향한 명확한 메시지를 던질 수 있을지가 핵심이다.
돈치치와 르브론이 함께하는 이 마지막 세대에서, 레이커스가 진정한 승부수를 던질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사진= 스카이스포츠 캡처, 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