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클래스천문
'어뢰 배트' 등장에도 MLB 평균 타율 0.239로 역대 최저치 근접


스위트 스폿을 종전보다 손잡이 쪽으로 내려 가운데가 볼록한 모양의 어뢰 배트는 뉴욕 양키스의 시즌 초반 홈런 증가의 배경으로 지목돼 화제가 됐다.
일각에서는 '부정 배트'라고 주장했지만, MLB 사무국은 규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확인했다.
일본프로야구(NPB)도 '어뢰 배트'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첨단 물리학 이론이 적용된 배트의 등장에도 2025시즌 MLB는 여전히 '투수의 시대'다.
AP통신은 8일(한국시간) MLB 평균 타율이 0.239까지 떨어져 역대 최저치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MLB 역사상 평균 타율이 가장 낮았던 시즌은 1968년의 0.237이다.
당시 MLB 사무국이 투수 마운드를 높이면서 타자들은 더 위력적인 공을 상대해야 했고, 밥 깁슨(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이 시즌 평균자책점 1.12를 남겨 지금도 1968년은 '투수의 해'(The year of the pitcher)로 불린다.
MLB 평균 타율이 낮은 건 올 시즌만의 일이 아니다.
2020년(0.245), 2021년(0.244), 2022년(0.243), 2023년(0.248), 2024년(0.243) 등 지난 5번의 시즌 동안 한 번도 0.250을 넘지 못했다.
1968년 '투수의 해'가 MLB 사무국의 인위적인 마운드 높이 조정 영향이었다면, 최근 흐름은 '구속 혁명'이 불러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토리 루블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감독은 "15년 전에는 (빠른 공의) 기준점(magic marker)이 시속 90마일 이상이었다면, 지금은 불펜에서 나오는 투수마다 시속 95마일(약 153㎞)을 넘긴다"고 짚었다.
AP통신에 따르면 올 시즌 투수 평균 포심 패스트볼 구속은 시속 94.1마일로 지난해 비슷한 기간의 시속 93.9마일보다 더 빨라졌다.
2010년 데뷔한 장칼로 스탠턴(뉴욕 양키스)은 "내가 처음 입단했을 때 3∼4선발은 대략 시속 88∼92마일을 던졌다. 그때는 시속 100마일을 던지는 선수가 지구(division)에 1명 정도였다면, 지금은 점점 늘어나 팀당 3명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세분화한 전력 분석 역시 '투수의 시대'를 연 요인 가운데 하나다.
보 비솃(토론토 블루제이스)은 "더 많은 스카우트 보고서와 데이터로 투수들은 타자에게 무엇을 던져야 할지 잘 알고 있다. 투수들이 경기를 좌우한다. 그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고 했다.
'어뢰 배트' 등장에도 MLB 평균 타율 0.239로 역대 최저치 근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