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카라스 “빅3 업적 집착하지 않아...내 길을 갈뿐”


알카라스 “빅3 업적 집착하지 않아...내 길을 갈뿐”
클레이 시즌 세룬돌로와 첫 격돌
“NO3이지만 똑같이 행복. 여정과 스포츠 삶을 즐기고 있어. 아이들에 영감주는 선수 될터”
[김경무의 ‘아이 러브 라켓스포츠’] 클레이 코트 시즌이 개막된 가운데, 2025 롤렉스 몬테카를로 마스터스(ATP 1000)에 출전한 카를로스 알카라스(21·스페인)가 여전히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습니다.
20년 동안 ATP 투어를 호령해왔던 ‘빅3’ 가운데 노박 조코비치(37·세르비아)만 남고, 세계 1위 야니크 시너(23·이탈리아)까지 도핑 위반 출전정지 3개월로 5월초까지 투어에 못 나오니 그럴 만도 합니다.
특히 몬테카를로에서 무려 11번이나 우승한 ‘클레이의 제왕’ 라파엘 나달이 지난해 은퇴한 상황이기에 누가 그의 뒤를 이어 흙코트의 최강자가 될 지도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2번 시드인 알카라스는 2라운드(32강전)에서 아주 부담스런 상대를 맞이하게 됐습니다. 세계 22위 프란시스코 세룬돌로(26·아르헨티나)인데, 알카라스로서는 올해 클레이 코트 첫 출격이라 부담스러울 겁니다.
몇 주 전 미국 인디언 웰스(BNP 파리바 오픈) 8강전에서 알카라스는 세룬돌로를 만나 2세트 1-4로 지다가 힘겹게 역전해 결국 2-0(6-3, 7-6<7-4>)으로 승부를 마무리했습니다. 기분 좋지 않은 기억일 겁니다. 당시 신승을 거두고 “오늘은 생존의 문제였다”고 고개를 흔들었던 알카라스입니다.
그러나 기량이나 운동능력 등 모든 측면에서 알카라스의 우세가 예상됩니다. 물론 이변의 희생양이 될 수도 있겠죠.
알카라스는 대회 출전을 앞두고 과 인터뷰를 했는데 되새겨볼 내용들이 적지 않습니다.
"당신은 그 빅3의 수준에 도달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 같다"는 질문이 나오자 알카라스는 "집착하지 않는다. 항상 역사상 최고가 돼 빅3 테이블에 앉고 싶다고 말해왔지만, 그것은 집착(obsession)이 아니라, 중요한 말(big words)이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리고 나는 늘 ‘어린 아이들에게 영감을 주는 사람으로, 가장 사랑하는 일을 재미있게 하는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 미소를 지으며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사람으로"라고 말했습니다.
정글처럼 냉엄한 승부의 세계에서 세계 최고를 유지하기 위해 몸부림치면서도 자신의 아이돌로 여기며 운동하는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겠다는 뜻이 아닐까요?
4대 그랜드슬램에서 조코비치가 24번, 나달이 22번, 페더러가 20번 등 3인방이 총 66번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렸다는 사실이 정말 믿기지 않네요. 대단한 업적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 3명의 장점만 모아놓은 것 같은 ‘신성’ 알카라스의 등장은 청량제와 같은 게 분명합니다.
알카라스는 만 19세 때 2022 US오픈에서 그랜드슬램 남자단식 첫 우승(역대 최연소) 감격을 맛본 이후, 2023 윔블던, 2024 롤랑가로스, 2024 윔블던도 제패했습니다.
하드·잔디·클레이 코트에서 모두 우승하는 등 전천후 테니스 재능을 보여줬고, 이제 하드코트 대회인 호주오픈만 제패하면 커리어 그랜드슬램도 달성하게 됩니다.
올해 들어 최근 마이애미와 인디언 웰스에서 열린 ATP 1000 하드코트 대회에서 다소 부진했지만 그는 여전히 낙천적인 것 같습니다.
ATP 랭킹 3위로 밀린 자신의 위치에 대한 질문에 알카라스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몇년 전에는 1위였고, 나는 행복했다. 이제 나는 넘버3이고 똑같이 행복하다. 그리고 여정, 스포츠, 그리고 삶을 즐기고 있다."
알카라스는 빅3와의 비교에 대해서도 “나는 정말로 비교를 좋아하지 않는다. 분명히, 역대 최고의 세 선수와 비교되는 것은 칭찬이지만, 나는 카를로스 알카라스이고, 내 길을 가려고 노력할 뿐, 그 이상은 아니다"고 답했습니다.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알카라스 “빅3 업적 집착하지 않아...내 길을 갈뿐”